오늘은 티스토리를 처음 개설하였을 때 세팅해야 하는 요소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저의 첫 번째 티스토리 블로그는 매일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다가 발견한 내용을 수시로 조금씩 반영하여 티스토리를 세팅하였습니다. 물론 제가 그랬던 것처럼 발견할 때마다 중간에 하나씩 수정해도 됩니다. 하지만 처음에 세팅하면 글 작성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의 두 번째 티스토리 블로그인 잇 플래닛을 개설하면서는 초기에 세팅을 할까 합니다. 모아서 한꺼번에 소개하고자 하니 처음으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는 분들께 소소하지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① 닉네임 수정
② 블로그 이름, 닉네임 수식어, 블로그 설명, 아이콘, 파비콘
③ 포스트 주소 형식
④ RSS 설정
1. 계정관리에서 닉네임 수정하기
ㆍ닉네임, 소개 작성 후 [변경사항 저장] 클릭합니다.
새로운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만큼, 블로그 제목에 맞춰 닉네임을 수정하였습니다.(필수는 아닙니다.)
2. 블로그 설정 홈에서 수정하기
블로그 관리 홈에서 메뉴 중 맨 아래의 [블로그]를 클릭합니다. 이제 설정 화면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원하는 대로 입력 및 수정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설정
ㆍ[닉네임 수식어] : 닉네임과는 별도로 닉네임 앞에 붙는 수식어입니다.
예를들어 수식어에 '친절한'이라고 작성하면 '친절한 행성지기' 이렇게 표시됩니다.
ㆍ[블로그 설명] : 블로그를 소개하는 간단한 글입니다.
블로그의 주제를 가급적 모두 포함하여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ㆍ[아이콘] : 운영자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댓글이나 방명록을 쓸 때 닉네임 앞에 표시됩니다.
ㆍ[파비콘] : 나의 티스토리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인터넷 웹 프라우저의 주소창에 표시되는 아이콘입니다.
특히 블로그 설정 화면에서 지정하는 이미지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오른쪽 상단의 검색창 옆의 아이콘에 위 화면과 같이 나타납니다.
주소 설정
ㆍ[사이트맵 주소] : 사이트의 페이지 목록 정보를 생성하고 있는 주소로, 수정할 수 없습니다.
ㆍ[포스트 주소 형식] : 문자 또는 숫자 중에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설정합니다.
* 사이트맵이란?
사이트맵(sitemap)은 인터넷 사용자 또는 검색 엔진의 크롤러가 사이트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페이지 목록을 말합니다. 티스토리 포털 검색 반영 및 최적화에 사이트맵을 제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예전에는 사이트맵을 직접 생성하였지만 이제는 티스토리에서 사이트맵을 제공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티스토리 주소. tistory.com/ 뒤에 sitemap.xml을 붙이면 사이트맵 주소입니다.
* 포스트 주소 문자, 숫자 형식의 장단점
각 글의 주소 형식을 문자(https://it-planet.tistory.com/entry/티스토리-초기-세팅하기) 또는 숫자(https://it-planet.tistory.com/123)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자신이 편한 방법을 선택하여 지정하시면 됩니다.
장단점 | |
문자 | 1. 작성한 글의 제목으로 주소가 설정되어, 어느 정도 직접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제목이 길면 주소도 더 길어진다.) 2. 통계를 확인할 때에 URL에 제목이 포함되므로 어떤 글인지 알 수 있어서 편리하다. 3. 다음을 제외한 포털에서 검색할 때에 제목에 키워드가 들어가 검색에 유리하다. 4. URL을 전달할 때에 종종 한글이 인식되지 않고 영어,숫자,기호의 조합으로 길게 변환된다. (예를들어 https://it-planet.tistory.com/entry/%ED%8B%B0%EC%8A%A4%ED%86%A0%EB%A6%AC-%EB%B8%94%EB%A1%9C%EA%B7%B8-%EC%97%AC%EB%9F%AC-%EA%B0%9C-%EB%A7%8C%EB%93%9C%EB%8A%94-%EB%B2%953%EB%B6%84-%EC%BB%B7) |
숫자 | 1. 작성한 글 순서대로 1번 부터 숫자가 자동으로 지정되어, 직접 지정할 수는 없다. 2. 통계를 확인할 때에 숫자로만 되어서 어떤 글인지 알 수 없어서 클릭해 보아야 한다. 3. 무엇보다도 URL이 간단하고 짧아서 보기 좋다. 4. URL을 전달할 때에 문자일 때 처럼 영어,숫자,기호의 조합으로 변환될 일이 없다. |
저는 숫자 형식에서 밑줄 친 장점(짧다)으로 인해 첫 번째 블로그에서는 숫자 형식으로 선택하였습니다. 확실히 주소가 깔끔하다는 장점이 좋았지만, 두 번째 블로그에서는 문자 형식으로 선택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밑줄 친 장점(검색에 유리하다)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말 제목이 그러면 URL도 길어지기 때문에 고민스러운 부분입니다. URL로 직접 유입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나는 포털 검색 노출은 필요 없다' 하시는 분들은 숫자 형식이 오류 없이 심플하고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 도메인 설정
도메인 등록 업체에서 도메인을 구입하여 설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저와 같은 티스토리 초보자와는 관련 없는 일이지만, 업체를 운영하는 분들이나 개인 사이트를 운영하는 분들에게는 관련이 있는 유용한 기능일 것 같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티스토리 공식 블로그를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기타 설정
RSS는 전체 공개로 설정, 공개될 RSS를 저는 45개로 갱신을 지정하겠습니다. RSS에 대해서는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함께 이야기해보는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숫자가 클수록 좋기는 하지만, 네이버 검색 노출과 관련하여 45개가 마지노선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보통 많은 분들이 45개로 지정하는 것 같았습니다.
* RSS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는 간단하게 말해서 글이 새로 등록되었음을 인지하고, 검색한 사람들 및 구독자에게 새 글을 알리는 데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마무리하기
다음 시간에는 티스토리 초기 세팅법 중 CCL 설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특히 CCL은 나중에 세팅을 하면 글을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설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 초보자를 벗어나 원하는 주제로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는 그날까지 함께 파이팅입니다!
'티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전체 폰트(글씨체) 순식간에 바꾸는 방법 (0) | 2021.09.09 |
---|---|
티스토리 북클럽스킨 : 본문 상단이미지 바꾸기(완전정복편) (2) | 2021.09.08 |
티스토리 글에 CCL 표시는 꼭 해야 하나 (0) | 2021.09.06 |
티스토리 블로그 여러 개 만드는 법(3분 컷) (1) | 2021.09.03 |
티스토리 글 영구 삭제 방법(안전하게 이사하기) (0) | 2021.09.03 |
댓글